2024/06 3

벅 컨버터 전압 제어 모드 (Voltage control mode)

오늘은 DC컨버터의 전압 제어 모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Brandy입니다. DC컨버터의 기본 원리와 토폴로지들을 공부하고 나면 다음 단계가 남아있습니다.  바로 컨버터의 피드백 루프인데요. 요렇게 벅 컨버터에 op amp가 붙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Voltage feedback circuit이라고 적혀있네요. 위와 같이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기본 컨버터 토폴로지에 피드백 회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벅 컨버터는 PWM의 듀티비에 따라 출력 전압이 변동합니다. 입출력 전압 관계는 $V_{out} = DV_{in}$으로 표현되는데요. 컨버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입력 전압 변동이나 부하 변동 등의 외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외란에 맞서 출력 전압이 출력 지령값 $V_..

전력전자 2024.06.28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Magnetizing Inductance)는 무엇인가

오늘은 Practical 변압기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인 자화 인덕턴스(magnetizing inductanc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압기에 대한 개념 자체는 중학생때부터 배우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교류전압을 변압하는 장치로써 간단하게 양쪽의 권수 비에 의해 변압이 된다고 배웠는데요. 사실 변압기의 역할 자체는 직관적이고 전압 비를 계산하는것도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변압기는 굉장히 복잡한 장치입니다 공부할수록 끝이 없어요..  특히 그림 왼쪽의 ideal transformer가 변압기의 가장 간단한 등가 회로인데요. 1차측(Primary side)와 2차측(Second side)의 전압 및 권선비가 동일하다는 것, 즉 $\frac{V_{p}}{V_{s}} = \frac{N_{p}}{N_..

전력전자 2024.06.26

RMS(실효값)의 실질적 의미

RMS의 실질적인 의미를 알아보자! RMS를 왜 계산하고 사용하는가? 교류 AC전압을 처음 배울 때 RMS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RMS는 Root Mean Square의 약자입니다.   구하는 식은 꽤나 직관적입니다. 말 그대로 Root (of) Mean (of) Square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제곱의 / 평균의 / 루트입니다. (of)의 존재를 의식하면 식 외우기도 간편합니다. 그런데 RMS의 공식 자체는 쉽지만 이것이 왜 중요한지는 잘 알려주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왜 교류를 배우는데 RMS를 알아야 했는가? RMS를 흔히들 "평균적으로 공급되는 양"이라고 소개합니다.     일례로, 계산해보면 상수함수는 임의의 구간에서 평균과 RMS값이 동일합니다. 해당 상수값이 $K$라면 그대로 $K$..

전력전자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