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전자

Flyback 컨버터 뿌수기 (2) 입출력 전압 전류 파형과 공식

brandy! 2023. 12. 21. 16:56
반응형

2023.12.17 - [전력전자] - Flyback converter 뿌수기 (1) - 변압기 절연 컨버터란 무엇인가

 

Flyback converter 뿌수기 (1) - 변압기 절연 컨버터란 무엇인가

앞으로 2~3개의 게시물에 걸쳐 Flyback converter 뿌수기를 진행하겠습니다. 보통 전력전자 수업을 들으면 제일 먼저 배우는 세가지 스위칭 DC 컨버터 토폴로지가 있습니다. Buck, Boost, Buck-Boost 이렇게

brandy2000.tistory.com

 

 

짜잔 Flyback 컨버터 뿌수기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1편에서는 자화 인덕터의 동작을 중심으로 변압기 절연 컨버터라는 토폴로지 자체의 원리를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수식을 좀 써서 Flyback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전류 파형과 공식을 유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자화 전류 im의 파형까지 공부를 했었어요. 스위치가 ON이면 자화 인덕터 Lm이 충전되고 스위치가 OFF일때는 Lm이 방전해서 im은 한 주기동안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정말 간단하게도, 위의 im 파형을 가지고 입력 전류 iin과 출력 전류 iout의 파형을 바로 알아낼 수 있는데 혹시 위 토폴로지를 보면서 눈치채셨을까요?

 

입력 전류 iin는 입력 전압원에서 공급되는 전류입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스위치 ON인 동안 iin은 곧 im이 되겠네요, 1차측 권선으로는 전류가 흐를 수 없으니까요. 반면에 스위치 OFF이면 전압원을 거쳐 흐르는 전류는 없습니다. 스위치가 끊겼으니까요. 그 동안 im은 루프를 돌며 감소하게 됩니다(전압원으로 돌아가지 않아요!).

 

따라서 스위치 ON동안은 im을 그대로 가져오고 스위치 OFF동안은 0으로 두면 위와 같이 iin파형을 그릴 수 있어요. 또한 이 때 입력 전류의 평균값 IinDIm과 같다는 것도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제 출력 전류 iout을 봅시다. 

 2차측 다이오드 때문에 스위치 ON인 동안 iout = 0입니다. 스위치 OFF인 동안은 iout = imn입니다. 1차측 권선에는 im이 흐르고 2차측에는 변압기 전류 비에 의해 imn만큼 흐르게 되니까요.

 

 

그러니 스위치 OFF인 동안 imn배 줄여서 가져오고 ON구간은 0으로 그리시면 iout의 파형이 나오겠네요. 

이 때 출력 전압의 평균값 Iout = (1D)Imn이 됩니다. 

 

 

이건 한 플라이백 컨버터 예제의 파형인데요, 이것만 마지막으로 한 번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에요.

n=0.5라서 파형이 저런 식으로 나오게 된답니다. OFF구간에서 iout=2im이 되는 걸 보실 수 있죠?

 

 

 

자 이제 마지막으로 Flyback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비를 계산해봅시다. 저희는 위에서 입출력 전류의 평균값인 IinIout을 찾아냈습니다. 이제 이걸 가지고 전압 비를 계산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컨버터의 효율 100%를 가정하고 입출력 파워가 같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IinVin=IoutVout이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Iin IoutIm에 관한 식으로 표현해 놨었죠, 이 식들로 정리를 하면. . .

 

VoutVin=nD1D를 도출하게 됩니다!    *그림의 Vs가 입력 전압 Vin입니다.

 

위 식이 이제 DC-DC컨버터에서 가장 중요한 Flyback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 비가 됩니다. Buck-Boost 컨버터와 같이 D1D term을 포함하지만 변압기를 추가함으로써 권수비 n또한 전압 비에 관여를 하게 되네요.

 

Flyback 뿌수기 이론은 여기서 끝났습니다, 혹시 나중에 시간이 되면 예제 하나를 풀이하는 포스팅으로 마무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