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전자

풀업 / 풀다운 저항(Pull up/down resistor)의 트랜지스터 구현, 과전압 보호 회로

brandy! 2024. 4. 7. 17:24
반응형

 

 

풀업 및 풀다운 저항의 작동 방식과 실제 회로 구현방법을 알아봅시다.

과전압 보호 회로를 통해 실제 풀업 저항과 트랜지스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Brandy입니다. 오늘은 간단하고도 중요한 풀업 / 풀다운 저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위치가 회로를 구성할 때 풀업 / 풀다운 저항이라고 불리는 저항이 같이 따라가게 됩니다. 

 

풀업 / 풀다운 저항
풀업 / 풀다운 저항

 

흔히 이런 간단한 이미지로 표현을 하는데요. MCU는 Microcontroller Unit의 약자로써 High / Low 신호를 받아 동작합니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아님!!). 

 

플로팅 현상
플로팅 현상

 

풀업 / 풀다운 스위치는 플로팅(Float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인데요. 플로팅 현상은 입력 레벨이 확실하지 않아서 단자가 떠 있는(Floating) 상황을 의미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스위치가 ON이면 5V가 입력으로 전달되지만, 스위치가 OFF이면 입력은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입력 단자에 어떤 확실한 전압 레벨이 가해지지 않고 있으니까요.

 

플로팅 현상의 방지
플로팅 현상의 방지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으면 0V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0V입력을 위해서는 확실하게 0V 전위를 가진 Ground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Ground까지 입력단자에 연결하면 플로팅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 회로의 문제는, 스위치가 ON일 때 5V와 Ground가 쇼트난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적절한 위치에 저항을 추가하게 되는데, 이 저항과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풀업 / 풀다운 저항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풀업 저항
풀업 저항

 

풀업 저항은 위와 같이 동작합니다. 스위치가 OFF이면 5V신호가 저항을 거쳐 MCU로 바로 인가되는데요. 이 때 풀업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만 MCU의 입력 임피던스인 Rin이 워낙 큰 값이기에 전압 강하는 거의 무시할 만한 양입니다. 즉, Rin>>R이면 대부분의 전압이 Rin에 걸리게 됩니다.

 

스위치가 ON이면 MCU는 Ground와 바로 연결되어 0V 신호가 인가되게 됩니다. 그리고 전류는 5R만큼 흐르게 되겠네요. 저항 값은 적정 전류값에 맞춰 설정하면 되겠죠?

 

풀다운 저항
풀다운 저항

 

풀다운 저항 구조는 풀업저항과 달리 스위치 OFF일 때 MCU가 Ground와 연결되어 0V신호를 받으며 스위치 ON일 때 5V를 받습니다. 저항 값은 풀업저항과 동일하게 적정 전류를 고려하여 설정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실제 소자를 활용해서 위와 같은 풀업/풀다운 저항을 어떤 식으로 구현할 수 있을까요?

 

실제 회로를 보며 한번 분석해 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JXTRLZBO3E&t=200s

 

 

위 영상에서 과전압 보호 회로를 가져왔습니다.

 

 

 

 

이 회로에는 풀업 저항이 사용되었나요 풀다운 저항이 사용되었나요??

 

잠시 생각해보시고..

 


 

 

 

 

 

 

 


 

 

 

 

 

 

 


 

 

 

 

 

 

 


 

 

 

짠, 위와 같이 소자를 대응시켜보면 풀업 저항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왜 위와 같이 대응되는지 한번 알아봅시다.

 

 

12V 입력은 R1R2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Q1의 베이스에 가해지는데요, 이떄 에미터는 Ground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VBE=VB값이 문턱 전압을 넘어야 Q1이 켜지게 됩니다.

 

만약 베이스 전압이 부족해서 Q1이 꺼지면 12V 입력이 풀업 저항 R3을 타고 Q2의 베이스에 연결됩니다. 전압 강하는 작은 값이므로 Q2의 베이스에 거의 12V가 걸리고 이는 Q2를 켜기에 충분한 전압입니다. Q2가 켜지면 부하에 전류가 흐르며 회로가 동작하겠습니다.

그런데 이제 입력으로 12V보다 훨씬 큰 Overvoltage가 들어와버리면 Q1의 베이스에 문턱 전압 이상이 인가되어 Q1이 켜지겠네요. 그럼 Q1Q2의 베이스를 Ground로 당기고 Q2는 꺼지겠습니다. 그러면 부하 전류가 차단되고 회로가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회로는 과전압 보호(Overvoltage protection)를 수행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풀업 저항이 활용되는 실제 회로를 살펴봤는데요, 예시와 같이 npn 트랜지스터에는 주로 풀업 리지스터를 사용합니다. npn 트랜지스터는 Low side 스위치로 사용되기 때문이에요.

 

회로의 위쪽이 입력 전압, 아래쪽은 그라운드로 통일되어 있을 때 npn 트랜지스터에 바이어스를 쉽게 인가하려면 아래쪽에 트랜지스터를 두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반응형